두근거림의 진단과 검사 그리고 치료방법은?
진단 및 검사
두근거림의 원인이 마음에서 비롯된 정신적 원인인지 몸에서 비롯된 신체적 원인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두근거림인 ‘생리적인 두근거림’은 건강에 큰 문제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현기증이나 실신이 동반되거나 2~3층 정도의 계단을 오를 때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이 동반되는 부정맥은 원인을 찾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두근거림의 증상이 시작되거나 악화되는 상황, 가슴 통증이나 호흡 곤란의 동반 여부, 현재 앓고 있는 질병과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한 상세한 문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병의원에서는 크게 심장의 이상을 찾기 위한 검사와 심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장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심리 상태 검사,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검사를 진행합니다.

가장 중요한 검사는 심전도 검사이며, 그 외에 흉부 촬영, 일반 혈액 검사, 전해질 검사, 갑상선 호르몬 검사, 부신 호르몬 검사, 소변 검사를 시행합니다. 심전도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힘들지 않게 진행되는 검사입니다. 누운 상태에서 가슴과 팔, 다리에 심전도 장치를 부착하고 2~3분간 심장의 박동을 관찰함으로써 간단하게 부정맥 여부와 종류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심전도 검사를 시행할 당시에 부정맥이 없을 수 있으므로, 24시간 심전도 검사(홀터 모니터링)를 병행합니다. 24시간 심전도 검사는 심전도 장비를 몸에 부착한 채 24시간 동안 일상생활을 하면서 심장의 박동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본인이 직접 느끼지 못하는 수면 시의 부정맥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어, 대부분의 병의원에서 부정맥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흔히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그 밖에 운동부하 검사와 경사테이블 검사 등이 있습니다. 운동부하 검사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고, 경사테이블 검사는 실신 등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실시하는 증상 유발 검사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심장 초음파 검사나 심혈관 도자 검사 등 심장에 대한 보다 정밀한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부정맥을 유발시키는 전신 질환의 감별을 위해 갑상선 기능 검사, 빈혈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발견되면 갑상선 초음파, 특수 갑상선 스캔 등의 검사를, 빈혈이 발견되면 빈혈 원인에 대한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합니다. 정신적 원인에 의한 두근거림이 의심되는 경우, 불안 장애나 스트레스 장애 여부를 알기 위한 설문지 검사나 정신과적인 상담이 필요합니다.
치료
불안 장애나 공포 질환에 의한 두근거림은 적절한 약물치료와 정신과적 상담이 도움이 됩니다. 생리적인 두근거림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운동하기 전 충분한 준비 운동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운동을 갑자기 격하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과도한 음주, 흡연을 삼가야 하고, 두근거림을 유발시키는 음식들을 피해야 합니다. 특히, 카페인이 많이 함유된 식음료들을 절제하는 것이 두근거림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평소 커피나 녹차 등 카페인이 많은 음료를 습관적으로 자주 마시는 경우에는, 보리차, 옥수수차, 둥굴레차 등으로 음료를 바꾸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규칙적인 가벼운 운동이나 체조, 아로마 치료나 요가, 이미징 치료 등이 도움이 됩니다. 심리적인 불안감을 유발시키는 상황을 미리 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피할 수 없는 중요한 발표 등을 앞두고 심하게 불안한 경우라면, 소량의 안정제나 베타차단제가 긴장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의사와 상담하여 약을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쉽게 구매해서 복용할 수 있는 종합 감기약 등도 두근거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평소 부정맥이 있던 사람들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장 박동 이상에 의한 심인성 부정맥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건강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는 부정맥들이 대부분입니다. 대표적인 부정맥의 치료법으로는 항부정맥 약물의 투여, 인공 심박동기 삽입, 외과적인 부정맥 부위 제거 수술, 자동 심율동 전환(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정상 박동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및 제세동기(심장에 고압 전류를 흐르게 해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는 기기)의 사용 등이 있습니다. 항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들은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각각의 약리 작용과 작용 부위가 다르고 부작용이 다양하게 생길 수 있으므로, 의사 진료 후 적절한 약물 처방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심장이 아닌 다른 신체의 이상으로 부정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원인 질환의 치료가 우선입니다. 예를 들어, 갑상선 기능 항진증, 갈색세포종, 저혈당증, 탈수, 전해질 이상, 빈혈에 의해 부정맥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치료가 선행되어야 합니다.